4년제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한 개발 비전공자
분명 모순되는 문장이다.
하지만 나에겐 어느정도 맞는 문장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컴퓨터공학과를 4년 다니며 다양한 지식에 접했다.
학교의 학부수준 커리큘럼은 내가 뭘 해야하고 뭘 배우고있는 지 그 지식의 깊이보다는 지식의 폭을 우선시한다.
지금 생각해보면 분명 개발자 혹은 IT전문가(?)에게 어느정도 효과적인 커리큘럼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학교의 커리큘럼은 가장 중요한 한 가지를 간과하였다. 바로 학생의 진로이다.
개발자라고 하면 그 종류가 나뉘어져있고 각각의 직종별로 배워야할 기술과 어느 기술이 주력으로 요구되는 지가 다르다. 하지만 대학에서는 교수님들이 지나가다 하는 얘기를 제외하고는 이런 주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얘기해주지 않는다.
컴퓨터공학 지식을 학기별로 일시적(?)으로 습득하여 학점받기에 급급하였으며, 학교에서는 컴퓨터공학과를 전공하여 무슨 일을 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려주지 않았다.
공부는 밑 빠진 독에 물붓기라고 한다.
밑 빠진 독에 물을 붓다보면 독의 용량보다 물이 더 많을때 비로소 물이 가득 찬다.
그러나 밑이 빠지려면 우선 독이 있어야한다.
독이 없다면 물은 그저 바닥에 떨어져 기화될 뿐이다.
즉, 여기서 독이 개발자의 진로가 되고 물붓기가 학교 수업이 될 것이다.
물론, 내 진로는 내가 알아서 찾아보아야하는 것임은 틀림없다. 그렇더라도 학교가 진로선택에 대한 어느정도 길잡이가 되어주었더라면 오늘까지의 나는 방황하지 않았으리라.
오늘부터 개발자
오늘부터 진정한 개발자의 커리어를 걷기 위해 글 서두에서 언급한 도서 "오늘부터 개발자"를 읽었다.
본 도서는 전공자가 아닌 비전공자가 개발자가 되기위해 알아야할 다양한 것들에 대해 친절히 알려준다.
앞서 말한대로 나는 전공만 컴퓨터공학과이지 사실상 개발경험은 몇 번 없다.
학교 수업을 통해 진행한 JAVA 앱 개발과 SW사업단을 통해 진행한 Flutter를 통한 앱 개발이 전부이다.
공교롭게도 학교에서는 Framework 등은 알려주지 않았다.
본 도서에서는 Framework 등 나의 대학 4년치동안 배운 개발관련 지식보다 더 많은 기본지식을 쉽게 설명하고 있다.
비전공자를 위한 책이지만 나처럼 학과만 컴퓨터공학과인 졸업생 혹은 재학생은 꼭 읽어보고 많은 생각을 해봐야한다.
내가 전공자임에도 비전공자용 책을 선택한 이유는 비전공자의 mind에서부터 시작하고자했기 때문이다.
젊은 나이는 아니지만 취업전에 기초부터 단단하게 다진 뒤 취업하고자 한다.
오늘부터 나는 전공자가 아닌 진정한 개발자의 길을 걷고자한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입 1년차 회고록 (4) | 2024.04.06 |
---|---|
2023 인프콘(INFCON) 후기 - 쓸쓸함과 유익함 그 사이.. (0) | 2024.02.23 |
티스토리로 회귀 (0) | 2024.02.02 |
습관 (0) | 2022.05.05 |